[구본진의 필적]〈47〉청아한 정인보

  • 동아일보
  • 입력 2019년 2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독립운동가부터 역사학자, 양명학자, 언론인, 시조시인, 산문작가, 교육자, 서예가까지. 위당 정인보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했고 가는 곳마다 두각을 나타냈다. ‘조선의 시조 단군은 신이 아니라 인간이었다’라고 시작하는 ‘조선사 연구’를 보면 방대한 지식과 통찰력에 머리가 절로 숙어진다. 대학자 집안 출신이라는 배경, 타고난 재능, 최상의 교육만으로는 이런 경지에 오른 이유를 설명하기 어렵다.

선생은 1910∼1920년대 민족주의 학파가 빠진 신비주의나 영웅주의 사관을 극복하고 문헌 고증에 치열하게 노력했다. 또 역사의 중심에 다중과 집단으로서의 민족이 놓여야 함을 강조했다. 그리고 저술, 신문 연재, 대중 강연을 통해 우리의 ‘얼’을 지키고자 진심으로 노력했다.

선생의 글씨에 대한 첫인상은 맑고 부드러우며 힘이 있어서 단아하다. 필획이 깨끗하고, 잡스럽거나 탁한 기운이 섞이지 않았다. 마음이 맑고 바르고 정직한 사람이 아니면 쓸 수 없는 글씨체다. 이상적인 글씨체를 구사한 다산 정약용의 필체와 닮았다. 모서리에 각이 지지 않고 필획이 부드러워 인자하고 너그러우며 온화했음을 알 수 있다. 고루하거나 아집에 빠져 있지 않았을 것이다. 획 사이의 간격이나 글자 사이의 간격이 충분한 것을 보면 새로운 환경에 적응을 잘하고 용기도 갖추고 있었다.

글씨의 모양이 정사각형 위주이고 균형이 잡혀 있으며 ‘書(서)’, ‘憲(헌)’자 중에서 가로획의 간격이 정확하게 균분되는 등 흐트러짐이 없다. 이는 바르고 보수적이며 논리적이고 이성적임을 알려준다. 선생의 저서를 보면 어느 한쪽에 얽매이거나 치우치지 않았고 무리한 주장을 펼치지 않았다. 위당의 역사의식은 단재 신채호의 민족주의 사학의 전통을 이었지만 독립 투쟁의 방도로서 민족사 연구를 지향하던 단재의 민족사학을 그대로 따르지 않았다. 엄밀한 사료적 추적에 의한 사실 인식과 그에 대한 민족사적 의미의 부각을 의도하는 신민족주의 사학의 입장이었다.
 
구본진 변호사·필적 연구가
#정인보#독립운동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