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중구-경북 경주, 도시까지 저출산 위기 덮친다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8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시군구 10곳중 4곳 ‘소멸 위험’
인구증가 없이 고령화 급속 진행… 2013년 첫 조사때보다 14곳 증가
광역시도중엔 전남이 유일 포함


전국 시군구 10곳 중 4곳은 저출산과 고령화에 따른 인구 감소로 사라질 위험에 처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올해 부산 중구와 경북 경주, 김천 등 도시 지역까지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돼 인구 절벽의 쓰나미가 지방 대도시까지 덮칠 기세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부연구위원이 13일 발표한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228개 시군구(제주와 세종은 1개 지역으로 계산) 가운데 소멸위험지역은 89곳(39.0%)으로 2013년 첫 조사 때 75곳(32.9%)보다 14곳 늘었다. 3463개 읍면동 중 소멸위험지역은 1503곳(43.4%)으로 2013년과 비교해 274곳 증가했다.

이 부연구위원이 개발한 소멸위험지수란 한 지역의 가임여성 인구(20∼39세)를 해당 지역의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으로 지수가 0.5 미만이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한다. 0.5 미만이면 인구 증가가 되지 않고 고령화만 급속히 진행된다는 의미다.

부산 중구(0.491)와 경북 경주(0.496) 김천(0.496), 강원 철원(0.480)은 올해 처음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구 도심인 부산 중구는 유동인구는 많지만 도심 공동화로 거주 인구가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시(市) 지역 가운데 2013년부터 6년 연속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된 곳은 경남 밀양, 경북 상주 문경 영천 영주, 전북 김제 남원 정읍 등 8곳이다. 경남 사천(0.507)과 전북 완주(0.509) 등은 조만간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큰 곳이다. 전국 시군구 가운데 소멸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은 경북 의성군(0.151)이고, 16개 광역시도 기준으로는 전남(0.470)이 유일하게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된 읍면동에서는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6만2000여 명의 인구가 빠져나갔다. 20대가 17만 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 중 37.4%는 수도권으로 거주지를 옮겼다. 30대(10만9000명)와 10대(6만3000명)를 포함하면 30대 이하 인구의 순 유출 인원은 34만2000명에 이른다. 반면 50대는 거꾸로 6만6000명이 소멸위험지역으로 유입됐다. 귀농·귀촌 열풍이 불면서 중장년층이 지방으로 이사를 가고 있지만, 젊은층의 이탈 속도가 더 빨라 인구 감소를 막기엔 역부족인 셈이다.

최근 자동차와 조선업의 침체로 지방 제조업이 구조조정에 들어가면서 지방 소멸 위기는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 부연구위원은 “지방 제조업의 위기는 산업 기반을 붕괴시켜 인구 유출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며 “농어촌 낙후지역을 넘어 지방 대도시권으로 소멸 위험이 확산되는 이유 중 하나”라고 지적했다. 이어 “사회 인프라 혁신뿐 아니라 교육, 주거, 교통, 문화 등 생활양식의 혁신이 가능하도록 지역 정책을 획기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성열 기자 ryu@donga.com
#저출산#고령화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