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룸/전승민]이사부호 건조비 1000억 원이 아깝지 않은 이유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0월 19일 03시 00분


코멘트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수석기자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수석기자
경남 거제시에 자리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연구소에서 해양과학조사선 이사부호가 16일 오후 출항했다. 19일 오후 필리핀 인근 태평양 공해에 도착해 최대 깊이 5800m의 해저생물과 각종 시료를 채집하는 연구를 시작한다.

이사부호는 2016년 11월 취항했지만, 시험운행 기간을 제외하면 실제로 연구에 투입된 건 1년 정도다. 처음 계획 당시 ‘쓸모없이 큰돈을 쓴다’는 지적이 많았지만 현재는 사정이 다르다. 짧은 기간 동안 올린 성과가 적지 않다. 2018년 5월 인도양 깊은 바닷속에서 열수가 뿜어져 나오는 ‘심해저열수공’을 세계 3번째로 찾아내 주목을 받았다. 조사를 나갈 때마다 신종 생명체를 발견하기를 기대할 정도다. 각계에서 ‘우리도 연구에 쓰게 해 달라’는 요청이 쇄도한다. 국내는 물론이고 해외 연구진의 협력 요청도 이어지고 있다.

국내 과학기술분야에선 이와 비슷한 이야기를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어렵게 승인을 받아 겨우 건조했던 극지연구소의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는 남극과 북극을 오가며 1년 내내 활약하고 있다. 한 척으로는 선박의 피로도가 심하고 원활한 연구 지원이 어려우니 ‘제2의 쇄빙선’을 건조하자는 목소리마저 나온다.

미래의 에너지라는 핵융합 기술을 연구하기 위한 한국형핵융합시험로(KSTAR) 건설은 초창기 때 소위 ‘돈 먹는 하마’라는 소리까지 들었다. 현재 KSTAR에서 얻어낸 연구실적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고 있다. KSTAR 건설에 참여했던 한국 과학자들이 현재 세계 7개 국가가 공동으로 건립 중인 최대규모 연구시설 국제핵융합시험로(ITER)의 건설을 주도하고 있다. 한국만의 독자적 우주기술 확보를 위한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도 수많은 경제성 논란을 겪었지만, 마침내 엔진 성능 검증을 위한 시험발사 단계에 도달했다. 이제 이사부호와 아라온호, KSTAR, 한국형발사체를 놓고 무용론을 펼치는 사람은 찾기 어렵다. 결국은 국익과 과학의 발전을 이끄는 원동력이 됐다.

기자는 해양연구과정을 취재하기 위해 이사부호에 동승해 18일 현재 일본 오키나와 남쪽 해안을 지나고 있다. 배에 오른 지 사흘째. 내부엔 첨단 연구장비가 가득하고 위성 인터넷 시설을 이용해 매일 기사를 송고할 수 있다. 장기간 항해에도 생활에 불편함이 없는 편의시설도 갖췄다. ‘한국이 이만한 연구선을 운영하게 됐구나’ 싶어 자부심이 느껴질 정도다.

한국 과학계는 더 먼 곳으로 나아가야 한다. 1만 m 깊이의 심해와 영하 수십 도를 넘나드는 극지, 달과 화성을 바라봐야 한다. 이런 투자를 놓고 눈앞의 이해득실만을 따져 계산하는 일도 사라질 때가 됐다. 그저 어리석은 사람이 될 뿐이라는 사실은 과거를 보면 명백히 알 수 있기 때문이다.―이사부호에서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수석기자 enhanced@donga.com
#이사부호#심해저열수공#아라온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